삼청동 아트선재센터 하종현 5975 전시회
날이 좋아서 #북촌나들이
#아트선재센터 Go Go~
주차: 불가, 대중교통 이용 권장
지하철 안국역에서 도보10분~


서울 삼청동 아트선재센터에서 열리는 #하종현개인전 《하종현 5975》는 2025년 2월 14일부터 4월 20일까지 진행됩니다.
이번 전시는 하종현의 초기 작업(1959–1975)을 집중 조명하며, 한국 현대사의 격동 속에서 그의 실험적이고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탐구합니다.

전시 특징
구성: 전시는 총 네 개의 시기로 나뉘어 초기 작업의 흐름을 따라갑니다.
1부: 앵포르멜과 전후 현실 (1959–1965)
2부: 도시화와 기하학적 추상 (1967–1970)
3부: 한국아방가르드협회 활동 (1969–1975)
4부: 대표작 <접합> 초기 작업 (1974–1975).
특징: 하종현은 물질과 회화적 기법을 통해 사회적 현실과 개인적 경험을 재구성하며, 평면적 회화를 넘어서는 실험을 시도했습니다.


하종현(1935년 경남 산청 출생)은 한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단색화의 거장으로, 실험적이고 독창적인 작업으로 세계 미술계에서 주목받아 왔습니다.

그는 1959년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하고, #앵포르멜 운동의 영향을 받아 전후 한국 사회의 혼란과 상처를 반영한 작품을 제작하며 예술적 기반을 다졌습니다.

앵포르멜(Art Informel)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에서 등장한 현대 추상미술의 한 경향으로, 기존의 기하학적 추상과 정형화된 미술에 반발하여 자발적이고 주관적인 표현을 강조합니다.

'앵포르멜'은 프랑스어로 '비정형'을 의미하며, 서정적 추상, 타시슴(Tachisme) 등과 혼용되기도 합니다.


특징
비정형적 표현: 기존의 형식적 틀을 깨고 즉흥성과 물질성을 강조하며, 감정과 격정을 표현합니다.
대표 작가: 장 포트리에(Jean Fautrier), 볼스(Wols), 장 뒤뷔페(Jean Dubuffet) 등이 초기 앵포르멜 운동을 이끌었습니다.
철학적 배경: 실존주의와 반휴머니즘적 사고를 반영하며, 기존 미학의 권위를 부정하고 창조적 자유를 추구했습니다.

한국 앵포르멜
1950년대 후반 한국에 소개되며 전후 세대의 감정을 반영한 작품들로 발전했습니다. 박서보, 하종현, 김창열 등이 대표 작가로 활동했으며, 한국적 앵포르멜은 이후 단색화로 이어지며 독자적인 현대미술 양식을 형성했습니다.

하종현은 1969년 전위적 미술가 그룹인 한국아방가르드협회를 창립하며 실험미술의 선구자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마대 천 뒤에서 물감을 밀어내는 독창적인 기법인 '배압법'을 개발해 단색화의 새로운 장을 열었습니다. 그의 대표 연작인 <접합>은 이러한 기법을 통해 물질성과 회화적 가능성을 탐구한 결과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그는 홍익대 교수와 서울시립미술관장을 역임하며 한국 미술계를 이끌었으며, 도쿄, 파리, 베니스 비엔날레 등 세계적인 무대에서도 활약했습니다.
이번 전시는 그의 초기 작업(1959–1975)을 조명하는 전시입니다.
#하종현 #배압법 #접합 #한국단색화 #아트선재센터 #미술전시 #삼청동미술관 #인사동미술관